프로그래밍 언어 정의
프로그래밍 언어는 컴퓨터가 수행할 수 있고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계산을 나타내는 표기 체계이다.
프로그래밍 언어란
- 프로그램 작성에 사용되는 언어
- 의사 전달 수단
- 주로 사람의 생각을 기계에 전달하는데 사용
- 사람도 고려해야 함
프로그래밍 언어의 특징
자연어 | 프로그래밍 언어 | |
형식 | 말과 글 | 주로 글 |
내용 | 모호, 함축 | 엄밀한 규칙, 정확한 의도 |
방향성 | 양방향 | 단방향 |
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본 기능
- 작성력 : 프로그래머의 의도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기능
- 가독성 : 프로그램을 쉽게 해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
- 실행 가능성 :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
프로그래밍 언어의 부가 기능
- 추상화 : 어떤 대상을 간략하게 추려 나타내는 방법
- 모듈화 : 복잡한 대상을 나누어 구성할 수 있는 방법
프로그래밍 언어의 특성
- 기계적 : 기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야 함.
-> 엄밀한 규칙에 따라 정의 - 구조적 : 복잡한 구조를 나타낼 수 있어야 함.
-> 자료 구조, 제어 구조 - 가변적 : 시대의 필요에 따라 바뀔 수 있음.
-> Python : 명령형 언어 -> 객체지향 개념 탑재
프로그래밍 언어의 구성 요소
데이터
자료를 프로그램이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나타낸 것
수, 문자, 문자열, 멀티미디어 등
데이터의 분류
- 이진 데이터 : 이진수의 나열로 이루어진 데이터
- 텍스트 데이터 : 문자열을 나타내는 데이터
연산
데이터 처리 방법
연산 적용 후 새로운 데이터를 결과로 얻음
용어 정의
- 연산자 : 특별한 연산을 수행하는 함수
- 변수 : 연산 결과를 저장하는 이름
연산의 종류
- 원시연산 : 언어가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연산
- 사용자정의연산 : 프로그래머가 추가로 정의한 연산
- 라이브러리 : 사용자가 자주 사용할 만한 연산을 미리 정의해둔 것
명령어
특정 작업을 지시하는 단어
if, while 등
서브 프로그램
전체 프로그램을 이루는 작은 코드 블록
서브루틴이라고 부르기도 함
서브프로그램 분류
- 함수 : 연산 수행 결과 값을 반환하는 서브프로그램
- 프로시저 : 결과 값을 반환하지 않는 서브프로그램
타입
데이터 집합과 연산 집합을 합친 개념
연산의 안전성 보장을 위해 필요
프로그래밍 언어의 분류
- 강타입 언어 : 타입 오류를 모두 검출하는 언어
- 약타입 언어 : 일부 타입 오류를 허용하는 언어
- 무타입 언어 : 타입 선언문도 없고 어떤 대상의 타입이 계속 변경될 수 있는 언어
모듈
독립적인 프로그램 구성단위
서브프로그램도 모듈의 일종
특징
내부와 외부를 구별하며 독자적인 이름 공간을 차지
변수, 함수, 타입 등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제공하는 거의 모든 부분을 차지
'방통대 > 프로그래밍언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강 프로그래밍 언어의 발전 및 동작원리 (1) | 2024.09.18 |
---|